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저번 부동산 경매 초보를 위한 경매 용어 chapter. 1을
이어 chapter. 2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chapter.1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동산 경매 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 제1편"(Feat. 경매와 공매, 취하, 낙찰, 유찰, 기각, 입찰보증금, 재매각, 대항력) (tistory.com)
부동산 경매 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 제 1편"(Feat. 경매와공매, 취하, 낙찰, 유찰, 기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부동산 경매 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 제1편"을 준비했습니다. 최근 부동산 경매에 관심이 생기면서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아주 기본적인 용어도 잘 알지 못해
zaimin-funstory.tistory.com
오늘은 동산과 부동산의 차이,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구분, 다세대와 다주택의 차이, 대지권, 기타 용어의 정리(금리, 중도상환수수료)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동산과 부동산의 차이
동산은 움직이는 물건으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동차, 보석, 금, 주식 등 유통이 가능한 재산을 뜻합니다.
부동산은 동산과 반대로 움직이지 않는 물건으로
정착물 즉, 토지나 건축물 등으로 유통이 불가능한 재산을 뜻합니다.
2.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구분
아파트란?
공동주택 형식의 하나로, 5층 이상의 건물을 아파트라고 합니다.
즉, 주거용으로만 사용되는 건물을 뜻합니다.
오피스텔이란?
사무실과 호텔을 복합한 주거 및 사무형태로
주거용과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건물을 뜻하며
주거형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 면적 85제곱미터 미만의
오피스텔까지만 주거형 오피스텔으로 분류됩니다.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가장 큰 차이는
주거용으로만 사용하는지, 주거용과 사무용 모두
사용할 수 있는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다세대와 다가구의 차이
다세대란?(공동주택)
하나의 건물안에 독립된 주거를 구성하고 있는것입니다.
(즉, 하나의 건물에 각 호실마다 소유권이 나뉨)
즉, 흔히 접할 수 있는 아파트와 빌라가 다세대의 대표적인 예이다.
다가구란?(단독주택)
여러 개 또는 단독으로 지어진 건물이 하나의 땅이나 부지에
위치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소유자가 따로 나눠있지 않은 한 명의 주인으로 되어 있는 건물입니다.
다가구와 다세대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는
구분등기의 유무입니다.
(구분등기 : 각 호실마다 구분하여 등기하는 것)
구분등기가 가능하다면? 다세대이고,
구분등기가 불가능하다면 다가구입니다.
4. 대지권
대지권이란?
건물의 구분소유자가 전유 부분(건물의 일부)을
소유하기 위해 가지는 권리입니다.
대지권이 중요한 이유는 대지권이 없으면
토지에 대한 권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경매에서는 "대지권 없음"과 "대지권 미등기"의 차이를
중요하게 보고 있는데,
대지권 없음은 실제로 소유할 수 있는 대지권이 없는 것이고
대지권 미등기는 절차의 미준수로 인해 대지권을 등기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러한 대지권의 유무는 재개발이나 재건축 시 중요한 사안입니다.
재개발 시 토지에 대한 권리가 없다면 혜택을 받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4. 기타 용어의 정리
1. 금리란?
2023년 가장 많이 들어본 뉴스의 내용이 "금리인상"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금리란 무엇일까요?
아주 쉽게 이야히가면 "금리" = "이자율"입니다.
즉, 대출을 받았을 때 그에 따른 이자를 지급하게 되는데
그 이자를 얼마나 지급할지를 "기준금리"로 정하는 것입니다.
2. 중도상환 수수료란?
위에서 대출과 이자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
우리는 은행이나 다른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받게 되면
일정한 기간 동안 금액을 빌린 것에 대한 이자를 매달 지급하며
은행은 그 이자를 통해 수익을 발생합니다.
하지만 처음에 5년 동안 계약했던 것을 갑자기 1년으로 줄이게 된다면
은행에서는 그 4년의 이자만큼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그에 따라 은행은 "중도상환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즉, 쉽게 말하면 계약의 파기에 따른 벌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동산과 부동산, 아파트와 오피스텔, 다세대와 다가구,
대지권, 기타 용어정리(금리, 중도상환 수수료)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또 새로운 용어들을 더 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경매 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 제 1편"(Feat. 경매와공매, 취하, 낙찰, 유찰, 기각, 입찰보증금, 재매각, 대항력) (0) | 2023.08.29 |
---|